PM과 마케터는 여전히 "이벤트 하나 추가에 일주일"이라는 병목에 막혀 있다. Allainyx는 개발자 도움 없이 1분 내 유저 행동 분석을 시작하게 하여, 비즈니스 골든 타임을 지켜준다.
"비개발자도 즉시 행동 분석을 시작할 자유"
Fact: 목표는 "즉시 분석 가능한 환경 구축 및 유료 고객 확보"다.
Insight: 내부 사용성과 외부 전환 퍼널을 통합 계량화해야 한다.
Implication: 제품 KPI(활성/효율)와 성장 KPI(전환/리드)를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.
구분 | 정의 | 수식 | 베이스라인 | 목표값 | 측정 주기 | 소유팀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이벤트 셋업 시간 | 이벤트 정의 시작→대시보드 반영까지 평균 시간(분 단위) | (이벤트 반영 시각 - 정의 시작 시각) | 3~7일 | 1분 이내 | 릴리즈 단위 | Product |
개발 의존율 | 개발자 개입 필요한 이벤트 비율 | (#개발자요청 이벤트 / 총 이벤트) | 80% | 10% 이하 | 월간 | Product |
사용자 활성도 | 활성 세션 사용자 비율 | DAU/MAU | 0.2 | >0.35 | 월간 | Growth |
이벤트 추가 복잡도 | 이벤트 설정 평균 단계 수 | 평균 클릭 수 기준 | 7단계 | 3단계 이하 | 분기 | UX |
리드→유료 전환율 | 유료 고객 수 / 리드 수 | 고객/리드 | 2% | 10% | 월간 | Sales |
이벤트 효율 개선율 | 평균 분석소요시간 감소율 | (기존-신규)/기존 | - | 85% 이상 [Assumption] | 분기 | Ops |
제품 기여도 | Allainyx로 추가된 이벤트 비율 | (Allainyx 이벤트 / 전체 이벤트) | 0 | ≥60% | 분기 | Product |
Fact: 주요 고객은 프리A 단계의 B2B SaaS 스타트업이며, 개발 인력이 2~3명 수준이다.
Insight: 분석을 "하고 싶지만 못 하는" 현업층이 핵심 타깃이다.
Implication: 데모 및 파일럿 제공을 통한 '즉시 가치 체험' 설득이 구매 결정의 핵심이다.
페르소나 | 주요 속성 | Pain Points | 구매 동기 |
---|---|---|---|
스타트업 대표 | 프리A~A단계, MVP 운영 중 | 분석체계 미비, 인력 부족 | 빠른 가설검증 및 팀 운영 효율 |
PM | 기획·운영·CS 겸임 | 이벤트 요청–릴리즈 지연 | 코드 몰라도 즉시 이벤트 추가 |
마케터 | 단기 캠페인 중심 | 태깅 누락/지연 | ROI 실시간 추적 |
CX 매니저 | 고객 만족 관리 | 여정별 지표 불명확 | 불만 원인 파악 및 리텐션 개선 |
주요 경쟁사 | 가격 | 설치시간 | 자동캡처 품질 | 정합성 | 한계 |
---|---|---|---|---|---|
Google Tag Manager | 무료 | 1~2시간 | 낮음(설정 이후만) | 중간 | 디버깅 어려움, 맥락 수집 제한 |
Heap | 문의형(고가) | 빠름(1줄 설치) | 높음 | 낮음(맥락 부족) | 맥락정보 제한 |
Amplitude | 고가 | 느림(개발 연동 필요) | 중간 | 높음 | 이벤트 설정 개발 의존 |
Mixpanel | 중간 | 중간 | 중간 | 높음 | 자동수집 미지원 |
Pendo | 엔터프라이즈 | 느림 | 높음 | 중간 | SMB엔 과잉 기능 |
Insight: 기존 솔루션들은 분석력은 강하나, "이벤트 설정의 즉시성"이 부족하다.
Implication: Allainyx의 경쟁우위는 맥락 포함 자동수집과 1분 내 분석 착수에 있다 [S5][S6].
지표 | 기존평균 | Allainyx(예상) | 개선폭 |
---|---|---|---|
이벤트 셋업 시간 | 3~7일 | 1분 내 | 99% 단축 [Assumption] |
개발자 개입률 | 80% | 10% 이하 | -70p |
이벤트당 비용(시간환산) | 50,000원 | 10,000원 | 80% 절감 |
이벤트 수집 커버리지 | 단일 페이지 | 전세션 | 10배 확장 |
데이터 지연 | 1~3시간 | ≤1분 | 실시간 수준 |
USP 요약:
ID | 역할 | 행동 | 가치 | 수용 기준 |
---|---|---|---|---|
U1 | PM | SDK 한 줄 삽입 후 클릭 이벤트 지정 | 즉시 가설 실험 시작 | 1분 내 반영 [Assumption] |
U2 | 마케터 | 랜딩 CTA를 이벤트로 지정 | 채널별 전환 비교 가능 | 클릭 직후 Amplitude 연동 확인 |
U3 | 대표 | 신규 기능 클릭패턴 관찰 | 릴리즈 후 반응 실시간 파악 | 1시간 내 데이터 누적 |
U4 | CX 매니저 | 불만 버튼 패턴 분석 | 불만 이유 파악 | 지정 이벤트 NPS와 연계 |
U5 | 개발자 | SDK 삽입 후 유지보수 불필요 | 본개발 집중 | 재요청 비율 10% 이하 |
U6 | 분석가 | 이벤트 로그를 Amplitude로 전달 | 통합 분석 환경 유지 | 스키마 오류율 <5% [Assumption] |
U7 | 세일즈팀 | 데모 환경 시연 | 빠른 파일럿 세일즈 | 지연률 0% |
Fact: 제품 분석툴 대부분은 이벤트 기반 과금모델을 채택한다.
Insight: 초기 스타트업은 무료 진입이 가능한 가격정책을 선호한다.
Implication: 무료→유료 전환을 촉진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이 최적이다.
모델 | 요금 | 장점 | 단점 | 타깃 |
---|---|---|---|---|
A안: 월 단위(이벤트 기반) | 99,000원(100만 이벤트), 초과 50,000/100만 | 예측 가능한 매출 | 무료 진입장벽 | 시리즈A 이상 |
B안: 하이브리드(30일 무료 후 유료) | 체험→A안 적용 | 전환율 향상 | 운영비 부담 | 초기 스타트업 |
C안: 기능별 티어 | 리텐션/세그먼트 추가 시 유료 | 업셀 기회 | 복잡한 구조 | 중대형기업 |
D안: 사용자 수 기반 | 팀원당 요금 | 관리 용이 | 팀규모 제약 | SMB·대기업 |
추천: B안 선택.
스토리: 첫 90일은 '발로 뛰는 세일즈'로 10곳의 첫 고객을 확보하며, 콘텐츠 기반 신뢰를 병행 구축한다.
기간 | 채널 | 예산 | 목표 KPI | 리스크 | 백업 플랜 |
---|---|---|---|---|---|
Day0~30 | 지인 레퍼럴 | 최소 | 파일럿 고객 5곳 | 리드 부족 | 2차 네트워크 확장 |
Day31~60 | 브런치·LinkedIn | 50만원 | 랜딩→리드 5% 전환 | 콘텐츠 반응 저조 | Paid Boost |
Day61~90 | 스타트업 커뮤니티 | 30만원 | 미팅→유료 10% | 응답률 감소 | 타깃 리뉴얼 |
월4~6 | 데모/웨비나 | 50만원 | 유료 30곳 누적 | 참여율 저조 | Co-host 세미나 |
Phase | 기간 | 목표 | 성공판정 |
---|---|---|---|
Beta 런칭 | 3월 | SDK·핵심 기능 완성 | 베타 3개사 사용 정상 |
기능 확장 | 6월 | Amplitude 연동 | 정확도 ≥95% |
고객 확보 | 9월 | 고객 10곳 | 반복사용률 ≥60% |
유료화 | 10월 | 결제 기능 도입 | 유료고객 ≥30, 이탈 <15% |
북미 준비 | 12월~ | 다국어·파트너 확보 | PoC 5곳 확보 |
Fact: 개인정보보호법(PIPA)·GDPR은 이벤트 수집 시 개인식별 정보(PII) 처리 제한을 명시한다.
Insight: 모든 이벤트 데이터는 비식별 토큰 단위로 전송되어야 한다.
Implication: 데이터 흐름·동의 프로세스·DPA·삭제 절차를 체계화해야 한다.
데이터 흐름 설계:
리스크 | 영향도 | 대응 전략 |
---|---|---|
API 변경(Amplitude 등) | 높음 | 버전 어댑터·로컬 캐싱·롤백 지원 |
SDK 설치 오류 | 중간 | 크롬 확장 자동검증 모듈 |
데이터 지연(latency) | 중간 | 실시간 스트림 파이프라인, 1분 SLA |
정합성 하락 | 높음 | 이벤트 시뮬레이터 QA |
Fact | Insight | Implication |
---|---|---|
시장 규모 추정 불확실 | 국내 TAM 21억·17조 차이 | Verified Market Reports 기반 TAM 민감도 분석 리서치 수행 |
USP 수치 근거 미비 | 시간 절감·비용 절감은 가정치 | 파일럿 5사 측정값 확보 후 업데이트 |
가격모델 유연성 부족 | 무료티어 부재 | 30일 프리미엄 테스트 즉시 배포 |
Amplitude 연동 의존 리스크 | API 변경 영향 큼 | 자체 시각화 모듈 프로토타입 개발 |
온보딩 완결 검증 필요 | '5분 내 완성' 검증 필요 | Lucky Orange 등 퍼널툴로 측정 |
Allainyx는 '즉시 분석의 자유'를 현업에게 돌려주는 첫 솔루션으로, 빠른 가설검증의 시대에 표준을 재정의할 것이다.
S1. Verified Market Reports, 사용자 행동 분석 시장 규모, 시장 개요, 성장 및 예측 2032, 2024, https://www.verifiedmarketreports.com/ko/product/user-behavior-analytics-market/
S2. GII Korea, 세계의 행동 분석 시장 : 솔루션별, 용도별 - 예측(-2029년), 2024, https://www.giikorea.co.kr/report/mama1558954-behavior-analytics-market-by-solutions-user-entity.html
S3. Global Market Insights, 행동 분석 시장 규모 및 점유율 | 2024년 통계 보고서, 2024, https://www.gminsights.com/ko/industry-analysis/behavior-analytics-market
S4. Fortune Business Insights, 행동 분석 시장 규모, 공유 | 통계, 2025, https://www.fortunebusinessinsights.com/ko/behavior-analytics-market-107862
S5. Heap, The Difference Between Google Tag Manager and Heap, 2024, https://www.heap.io/blog/google-tag-manager-heap
S6. TrustRadius, Compare Google Tag Manager vs Heap 2025, 2025, https://www.trustradius.com/compare-products/google-tag-manager-vs-heap
S7. AB180, AB180 Blog | 구글 태그 매니저로 앰플리튜드 빠르고 쉽게 설치하기, 2024, https://blog.ab180.co/posts/amplitude-gtm-guide
S8. Brunch, 커스텀 이벤트 vs 자동 수집 이벤트, 2024, https://brunch.co.kr/@puzzle87/371
S9. Jestor (blog), Top 15 No-Code Tools in 2024 and Market Trends, 2024, https://blog.jestor.com/top-15-no-code-tools-in-2024-and-market-trends/
S10. Atlassian, 2024년에 사용해야 할 최고의 이슈 추적 소프트웨어 6가지, 2024, https://www.atlassian.com/ko/agile/project-management/issue-tracking-software
S11. Letspl, 유저 온보딩 전쟁 : 첫 5분의 UX가 스타트업 살린다, 2024, https://letspl.me/quest/2195/%EC%B2%AB%205%EB%B6%84%EC%9D%98%20%EB%AA%A8%EB%93%A0%20%EA%B2%83%EC%9D%84%20%EA%B2%B0%EC%A0%95%ED%95%9C%EB%8B%A4%EC%8A%A4%ED%83%80%ED%8A%B8%EC%97%85%EC%9D%B4%20%EB%A7%8C%EB%93%A0%20%EC%83%88%EB%A1%9C%EC%9A%B4%20%EC%84%9C%EB%B9%84%EC%8A%A4
S12. Thunderbit, 리드 전환율 통계: 업계 벤치마크와 평균 비교, 2024, https://thunderbit.com/ko/blog/lead-conversion-rate-statistics-benchmarks